1. 기본자료형
- 논리형 : boolean - 1bit(기본값) : T와 F으로 나타내는 1과 0만을 이용하는 방식
- 문자형 : char - 2byte
- 정수형 : byte - 1byte / short - 2byte / int - 4byte
- 실수형 : long - 8byte / float - 4byte / double - 8byte
2.
- {} : 구역, 선언
- ; : 줄마다 ; 필수
- 출력 매소드 : println() : 줄바꿈, 숫자 바로 출력, print() : 줄바꿈안됨, 숫자 바로 출력, printf() : 줄바꿈안됨, 숫자 바로 출력 안됨
3. 변수
- [자료형] 변수명 : (선언)
변수명 = 값 : (대입)
[자료형] 변수명 = 값(선언과 대립을 동시에 초기화)
* 숫자가 먼저 x ex) 1num : x / num1 : o
_ 특수기호만 사용가능
예약어금지(switch, while...)
한글사용금지
4. 논리형
- 논리형은 true, false -> 사실이다 아니다 두 가지 값만 가진다.
boolean b = true;
Sysrem.out.ptintln("b의 값 : " + b) ; // + 기호는 더하기 의미가 아닌 이어붙이기(숫자 사이는 더하기 맞)
5. 문자형
char ch = 'A'; // 문자형은 홀따옴표 안에 넣어야 하며 한글자이상 넣을 수 없다.
System.out.println("ch = " + ch); // 결과 A
char ch3 = 65 + 1 ;
System.out.println("ch3 = " + ch3); //결과 B--> 아스키코드
6. 정수형
byte b = 128; // 바이트 표현범위 벗어나 오류 뜸( -128 ~ 127)
byte b = 127;
short s = 32767;
int n = 777;
System.out.println("b = " + b); //결과 127
System.out.println("s= " + s); //결과 32767
System.out.println("n= " +n); //결과 777
7. 실수형
float f = 3.14f // 자바에서 실수는 기본적으로 더블형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float 자료형 사용한다는 것을 명시
float f1, f2;
f1 = 3.14f;
f2 = 170;
System.out.println("f1 = " +f1); //결과 3.14
System.out.println("f2 = " +f2); //결과 170.0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_배열(Array) 1 (0) | 2021.07.27 |
---|---|
JAVA_도형 만들기(반복문) (0) | 2021.07.25 |
JAVA_반복문(for, while, do-while) (0) | 2021.07.25 |
JAVA_반복문(if, switch) (0) | 2021.07.24 |
JAVA_연산자 (0) | 2021.07.1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