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If
if 조건식이 true이면 {} 안의 문장 수행 아니면 다음의 문장으로
2. If_else
- 두개 중 참인 조건식 출력
3. If_else If
- 셋 이상 조건 중 참인 조건식 출력
4. If의 중첩문
- If 문 블럭 내에 또 다른 if문을 포함
5. Switch 문
if문은 조건식은 조건이 많아질수록 else-if를 계속 추가해야하므로 조건식이 많아져 복잡 + 처리시간↑
Switch문은 if문과 달리 단 하나의 조건식으로 많은 경우의 수를 처리가능 + 간결
그러므로 경우의 수가 많은 경우 Switch 문을 사용하는게 좋다.
- 순서
조건식을 계산 → 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
→ 이후의 문장들을 수행 → break문이나 switch 문의 끝을 만나면 switch 전체를 빠져나간다.
- 제약 조건
: 조건식의 결과는 정수 또는 문자열이여야한다(jdk1.7이전은 허용 x)
: case문의 값은 정수 상수 문자열만 가능(변수x), 중복 x
Ex1. 입력한 숫자 num 나머지가 0이면 짝수 아니면 홀수
Ex2.
* Math.random() : 난수 얻기 위한 메소드로 0.0 ~ 0.99999999 범위에서 double 값을 반환함
난수인 정수를 표현하기 위해서는
0.0 <= Math.random() < 10 → 0.0*10 <= (Math.random()*10 < 1.0*10 → 0 <= (int)(Math.random()*10) < 10
→→ 0 ~ 9사이 난수를 출력함.
참고 : 자바의정석(남궁성)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_배열(Array) 1 (0) | 2021.07.27 |
---|---|
JAVA_도형 만들기(반복문) (0) | 2021.07.25 |
JAVA_반복문(for, while, do-while) (0) | 2021.07.25 |
JAVA_연산자 (0) | 2021.07.15 |
JAVA_기본 개념 (0) | 2021.07.15 |
댓글